인기메뉴
인기메뉴
인기메뉴
이전 슬라이드
play
다음 슬라이드
오늘마감
모집기간 2025.07.02 ~ 2025.07.31
사업기간 2025.08.07 ~ 2025.08.07
오늘마감
2025 대구경북 FTA 인증수출자 요건 취득 교육과정 (온라인) (인증수출자 교육점수 26점 부여)
모집기간 2025.07.09 ~ 2025.07.31
사업기간 2025.08.01 ~ 2025.08.31
D-1
모집기간 2025.07.04 ~ 2025.08.01
사업기간 2025.07.04 ~ 2025.11.30
D-1
수출입 유망기업을 위한 물류 역량 강화 교육 세미나 (~8/1 신청, 무료 참가)
모집기간 2025.07.17 ~ 2025.08.01
사업기간 2025.08.04 ~ 2025.08.04
최근검색
전체삭제메뉴검색
오늘마감
사업기간 2025.08.07 ~ 2025.08.07
오늘마감
2025 대구경북 FTA 인증수출자 요건 취득 교육과정 (온라인) (인증수출자 교육점수 26점 부여)
사업기간 2025.08.01 ~ 2025.08.31
D-1
사업기간 2025.07.04 ~ 2025.11.30
D-1
수출입 유망기업을 위한 물류 역량 강화 교육 세미나 (~8/1 신청, 무료 참가)
사업기간 2025.08.04 ~ 2025.08.04
팹리스 스타트업 활성화 및 수출 연계 전략
한국 반도체 수출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9.5%의 속도로 성장하였으나, 동기간 메모리 수출이 시스템 반도체 수출보다 2배 빠르게 확대되며 메모리 중심의 수출구조가 고착화되었다. 장기적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 내 비메모리 분야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팹리스 스타트업 활성화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수출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최근 AI 산업의 성장으로 고성능·다품종 소량생산에 기반한 시스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그에 따라 맞춤형 반도체 설계에 특화된 팹리스 스타트업의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전 세계 팹리스 스타트업의 절반 이상이 미국·중국에 집중되어 있는 가운데, 해외 팹리스 스타트업은 다양한 범주의 AI 반도체를 설계하고 있으며 특히 서버용 제품 개발이 활발하다. 한국은 반도체 스타트업 수 상위 4위 국가로, 국내에서는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중심으로 엣지디바이스용 반도체에 특화된 팹리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팹리스 스타트업은 기술력 측면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으나, 산업 생태계와 투자 환경은 여전히 취약한 실정이다. 전체 팹리스 스타트업의 90% 이상이 초기 투자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설계자산(IP)과 전자설계자동화(EDA) 툴, 파운드리 위탁 생산 과정 전반에서 해외 의존도가 높다. 무형자산 비중이 높은 팹리스 산업 특성상, 기업 가치평가가 어려워 IPO ·M&A를 통한 성장 경로도 여타 산업 대비 제한적이다.
트레이드 포커스2025.07.30
미-EU 무역합의 주요 내용 및 현지 평가
통상이슈브리프2025.07.29